반응형 ALL123 관측이래 가장 더웠다 기후변화 이상고온 1. 이상고온 2023년 11월 오늘도 날씨가 너무나 포근합니다. 새벽출근을 하는 저는 마치 가을처럼 느껴졌을 정도로 날씨가 너무 포근하더군요. 비가 온 후 영하10도권 까지 간다고는 하지만 이번주는 너무 따뜻했습니다. 관측이래 가장 높은 기온 이라는 기사들은 전세계 곳곳에서 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지속적 관측되고 언론을 통해 볼 수 있는데요. 이런상태라면 대한민국은 4계절이 아닌 3계절 또는 2계절이 될 것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는 엘리뇨와 라니냐로 부터 이상고온에 대해 경험하고 있습니다. 2. '엘리뇨'와 '라니냐' 1) 엘리뇨 스페인어로 남자아이 혹은 아기 예수를 뜻하는 말로, 크리스마스 경 에콰도르의 콰야킬만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평소보다 어획량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이를 어부들은 예.. 2023. 12. 14. 밀도와 비중의 관계, 물의 비중 철의 비중에서 언급한 비중 '1'의 기준 값은 물에 대한 이야기와 밀도 그리고 비중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우선 밀도와 비중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요?밀도와 비중의 차이 1. 밀도 (Density) 같은 질량을 갖지만 속성이 다른 금속 그리고 코르크 마개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둘을 동시에 물에 넣으면 어떻게 될까요?금속은 바로 가라앉고 코르크는 쉽게 물에 뜰겁니다. 그 이유는 밀도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두 물체의 질량이 같다는 전재를 가진다면 코르크마개의 부피는 금속보다 훨씬 커져야 합니다. 부피의 차이로 무게를 맞춰야 한다면 두 물질(재질)의 차이점은 밀도라고 볼 수 있습니니다.밀도는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같은 질량을 갖더라도 부피가 클수록 밀도는 작아지게 됩니.. 2023. 12. 13. 기후변화 위기 1. 나비효과 작은 날갯짓으로 미세한 변화가 시작하고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게 되는 현상 바로 나비효과입니다. 카오스 이론으로 과학적인 이론이지만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광범위한 용어로도 사용됩니다. 나비 효과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곳은 브래드버리라는 소설가가 쓴 '천둥소리'라고 합니다. 이 후 기상학자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수학자, 기상학자, 혼돈이론의 선구자)가 미국 과학부흥협회에 한 발표에서 1961년 컴퓨터로 기상 모의실험 중 초기 입력값의 미세한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고 결과를 발표하면서 나비효과라는 말이 널리 알려졌습니다. 사소하게 생각하고 무심코 해버린 행동들은 모두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큰 파장을 이르키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 누구의 소유도 아.. 2023. 12. 12. 철의 원료 녹는점과 제련 철과 관련데 업종에 근무하고 철에 대한 궁금증과 관심으로 철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철(iron)은 인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원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철의 원료 1. 철광석 철(Fe)을 함유한 광석으로 자철광, 적철광, 갈철광이 있다. 보통은 철의 함량 50∼60퍼센트의 것이 경제성이 있으며, 그 이하의 것은 빈광으로 고품위의 광석에 섞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철광석은 철의 산화물인 적철석(Fe2O3)이나 자철석(Fe3O4)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순수한 철을 뽑아 내기 위해서는 코크스에 의한 환원 작용으로 산소를 제거하면 철을 분리할 수 있다. 출처 : Na이V버 지식백과 2. 코크스 코크스는 석탄의 한 종류로 철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점결탄 입니다.석탄은 수억년전부터.. 2023. 12. 11.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1 다음 반응형